2. 동아방송예술대 실용음악학부 2021학년도 정시 - 경기도 안성 -
1. 전형일정
구분 | 일정 | 장소 | 비고 |
원서접수 | 1차 2021.01..07.(목).~ 01. 18.(월)23:59 | 유웨이어플라이 진학사어플라이 |
|
실기고사 | 1차 - 2021. 1. 22.(금)(예정)~ 2차 - 1차 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공지 | 입학홈페이지 공지 | ▶ 개인별 실기고사 일정은 원서접수 순으로 일괄배정 ▶학과 (계열) 및 실기종 목에 따라 실기고사 시작 일과 기간이 다르므로 반드시 개별조회 ▶ 실기고사 개인별 일정 은 2021.01.20(수)16:00 이후 입학홈페이지 개별 조회(*개별통지하지않음) ▶ 실용음악계열은 1단계 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2단계 시험 응시자격 부여 |
최종합격자발표 | 1차 2021. 02. 05.(금) 14:00 | 입학홈페이지 |
|
2. 모집인원
구분 | 정원내 모집인원 | |||
실용음악학부 | 기악전공 | 피아노 | 3 | |
기타 | 3 | |||
베이스 | 3 | |||
드럼 및 퍼커션 | 3 | |||
관악 및 그 외 악기 | 3 | |||
성악(보컬)전공 | 남자 | 5 | *싱어송라이팅(보컬)은 정시모집안함 | |
여자 | 5 | |||
작곡전공 | 싱어송라이팅 (작곡) | 3 | ||
프로듀싱 | 8 | |||
전자음악제작 | 2 |
3. 실기고사
모집단위 | 실기고사 과제 |
실용음악학부 | ◎1단계 시험 ■기악 전공 > 연주실기 - 실용음악 영역 안에서 자유곡 1곡 > 2분 내외 ※ 2인 이하의 반주자 또는 무반주 중 한 가지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MR사용은 불가 단, 본인의 전자음악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laptop 과 controller(launch pad, 드럼패드 등)의 사용은 가능. (본인이 직접 작업한 소스만 가능, 셋팅 시간이 최소화 되도록 준비) ※ 시험 중 필요에 따라 간단 코드 진행이나 리듬 초견을 볼 수 있음. ※ 드럼전공은 시험 중 필요에 따라 다음을 요구 할 수 있음 - 스네어드럼 루디먼트 snare drum rudiment-기초에서 중급수준의 자유곡 중 자신 있는 16마디 - Funk 또는 Swing 리듬과 솔로 (다양한 템포와 스타일) ■성악(보컬) 전공 > 실용(대중)음악 자유곡 1곡 가창(한글가사 가요곡 권장) > 2분 내외 -필요한 경우 추가 곡을 요구할 수 있으니 반주를 준비할 것을 권장함. - 직접 반주, 반주자 대동, MR 반주 가능(USB 지참, CD 불가, USB에는 해당 입시곡 및 추가곡을 위한 반주 MR (총 3곡 이내)만 들어있어야 함. FAT32/exFAT/NTFS으로 포맷된 USB메모리에 MP3(320kbps) 형태로 저장하여 제출.(사전에 악성코드 검사 요망) ■작곡전공 > 다음 가, 나, 다 중 1가지 선택 > 2분내외 -악보는 USB에 저장하여 제출(파일형식 : JPG또는 PDF) 가. 싱어송라이팅(작곡) : 자작곡 1곡을 연주하며 노래 나. 프로듀싱 : 자작곡 1곡을 연주 다. 전자음악제작 : 자작곡 1곡의 음원을 재생 - 노래곡은 본인이 직접 노래하여도 무방하며, 반주 편성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나 설치 및 준비시간은 주어진 실연시간에서 차감됨 - 경우에 따라서 정확한 평가를 위해 그 외 자작곡의 실연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음 - 연주/반주용 악기 : 피아노, 신디사이저, 드럼, 기타앰프, 베이스앰프, 음악재생기기, 음향기기 - 재생용 음원 : FAT32/EXFAT/NTFS으로 포맷된 USB메모리에 MP3(320kbps) 또는 WAV 형태로 저장하여 제출 ※ 그 외 악기 및 장비는 개인지참 할 것, 반주 편성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나 설치 및 준비시간은 주어진 실연 시간에서 차감됨. |
◎2단계 시험 - 1단계 합격자에 한하여 응시 자격 부여 -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2단계 시험 개인별 실기 및 면접 시간이 대폭 늘어나므로 참고사항을 꼭 확인 하십시오. ■ 기악전공 : 연주실기 및 면접 - 10분 내외 1. 실용음악 영역에서 자유곡 2곡 2. 간단한 초견과 즉흥연주 3. 면접 ■ 성악전공 : 보컬 및 가창 , 연주 실기 및 면접 - 10분 내외 1. 보컬 및 가창 , 연주 실기 : 실용(대중)음악 자유곡 3곡 가창 2. 면접 ■ 작곡전공 1. 음악 기초능력 오디션 (실기평가) 1~3 모두 진행 ① 음악이론 실기평가【50점】 7분 이내 ② 청음 실기평가【50점】 7분 이내 ③ 전통 화성을 이용한 작곡【50점】 45분 이내 2. 자작곡 오디션 [750점] : 다음 가,나, 다 중 1 가지 분야 선택 (1 단계와 동일한 분야) - 악보 및 포토폴리오는 USB에 저장하여 제출 (파일형식 : JPG 또는 PDF) 가. 싱어송라이팅(작곡): 자작곡 2곡을 연주하며 노래 (10분 이내) 나. 프로듀싱 : 자작곡 2곡을 연주 (10분 이내) 다. 전자음악제작 1~2 모두 진행 ① 실기고사 현장에서 DAW를 사용하여 제시된 동기를 바탕으로 1 분 내외의 자작곡 1 곡 제작 (1시간 이내) ② 자작곡 1 곡을 재생하며 연주 (10분 이내)
**참고사항** ■ 기악전공 기악전공 지원자는 학교의 교육 목표와 원활한 교육과정 이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초 소양을 필요로 한다. 1. 실용음악(Jazz, Fusion, Pop, Rock, 가요 등)에 대한 재능과 이해, 그리고 지원자만의 장점과 창조적 능력 2. 전공악기에 대한 안정적인 기본기와 테크닉,즉흥연주능력 3. 기초 악전과 화성학, 초견, 시창,청음 등과 같은 기초 이론 4. 기본적인 컴퓨터 및 전자음악에 대한 이해와 능력 5. 본인의 음악관과 세계관 : 따라서 연주실기 및 면접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청을 받을 수 있다 1) 실용음악 영역에서 자유곡 2곡(1 분 내외 1 단계 시험곡 중복 가능) - 무반주 또는 2인 이하의 반주자 동행 가능. 간단한 스텐다드 곡은 학교에서 준비한 반주자에게 반주 요청도 가능 (단 반주자를 위한 추가악보 3매 준비) - 기본적으로 MR사용은 불가 단 본인의 전자음악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laptop과 controller의 사용은 가능 (본인이 직접 작업한 소스만 가능,셋팅시간이 최소화 되도록 준비〉 2) 면접 : 수험생의 음악성과 기본 소양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내용의 예는 다음과 같음. ► 간단한 초견과 즉흥연주 : Jazz Standard 또는 간단한 코드진행,멜로디,리듬스타일 등을 연주하거 나, 학교 에서 준비한 반주자와 잼세션 ► 기초 화성 지식,시창 • 청음 능력 : 악보를 보거나 연주되는 음악을 듣고 본인의 악기로 따라서 치거나 이 것을 화성적으로 설명(드럼전공은 음정 또는 기초화성을 구두로 설명) ► 다양한 주제에 대한 심사위원의 질문을 이해하고 조리 있게 본인의 생각을 말하기 ■ 성악전공 성악전공 지원자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원활한 교육과정 이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초 소양을 필요로 한다. 1. 본인의 장점을 살린 자연스럽고 적절한 가창기술과 음감,리듬감,감성표현,마이크 사용능력,보컬어레인징 능력 2. 기초 악전과 화성학,초견,시창,청음 등과 같은 기초 이론능력 3. 기본적인 컴퓨터 및 전자음악에 대한 이해와 능력
4. 본인의 음악관과 세계관 : 따라서 가창실기와 면접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청을 받을 수 있다. 1) 보컬 : 실용(대중)음악 자유곡 3곡 - 3곡 중 2곡은 반드시 한글 가사곡이여야 함 - 3곡은 각각 템포 및 리듬 스타일이 다른 곡이어야 함 - 직접 반주,반주자 대동,MR 반주 모두 가능(USB지참,CD불가,USB에는 해당 입시곡만 들어있어야 함) - 상황에 따라서 추가곡 요청이 있을 수 있음 3) 면접 : 수험생의 음악성과 기본 소양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내용의 예는 다음과 같음 ► 기초화성•건반화성 지식 ► 시창 능력 ► 직업 뮤지션으로서 자신의 학업 및 활동 계획 ■ 작곡전공 작곡전공 지원자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원활한 교육과정 이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초 소양을 필요로 한다. 1. 실용음악 기초이론과 전통화성학 지식 2. 악기 연주 능력 (건반악기 권장) 3. 창의성, 문제해결능력,의사소통능력 1) 음악기초능력 오디션 ① 음악이론 실기평가【50점】 - 7분 이내 ► 면접관의 질문에 필기,건반연주 또는 구두로 응답 ► 평가사항 - 음계(Scale)/선법(Mode) (oil: ‘G Major Scale’ 구성음 말하고 건반으로 연주하기) - 모드 (예: ‘F Dorian’을 건반으로 연주하기) - 음정 (예 : ‘D음’ 아래 장6도 음을 말하기) - 화음 (예: Cm7 의 구성음을 말하고 연주하기) - 화성진행 (oil: ‘G Blues’의 12마디 화성진행을 건반으로 연주하고 화성진행을 Secondary Dominant, Substitue Dominant 등을 활용하여 리하모니제이션하여 연주하기) ② 청음【50점】 - 7분 이내 ► 면접관의 질문에 건반연주 또는 노래로 응답 ► 평가사항 - 선율 (예: 선율을 듣고 이를 건반으로 연주 - 멜로디,베이스, 멜로디&베이스 등) - 리듬 (예: 리듬을 듣고 이를 건반으로 연주 -4비트,8비트&스윙,16비트 등) - 화성 (예: ‘B를 근음으로 하는 Bm7(b5)’을 듣고 코드의 각 구성음을 건반으로 연주 : 3화음,7화음,텐션화음 등) ③ 전통화성을 이용한작곡【50점】 - 45분 이내 ► 제시된 단순한 동기를 바탕으로 전통화성법을 사용하여 8마디 내외 작곡 & 화성 풀이 ► 평가사항 : 화성진행,종지,화성음,비화성음,3화음,7화음,부속화음,나폴리6화음,증6화음,온음계/반음계 적 전조등 활용 2) 자작곡 오디션 - 면접시 심사위원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인성,경험/경력,지원동기,학업계획 등을 포함하여 자신만의 강점과 독창 성을 표현한 문서 형태의 포트폴리오 제출 가능 - 2단계 시험에서는 새로운 심사위원단이 구성되므로 본인의 대표곡을 1 단계와 2단계 시험에 모두 포함하기를 권장 -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그 외 자작곡 또는 기성곡의 실연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음 - 연주/반주용 악기 : 피아노,신디사이저,드럼,기타엠프,베이스엠프,음악재생기기,음향기기 - 전자음악제작 실기고사장에 제공되는 DAW 및 기기 : iMac(Logic proX), 49건반 마스터키보드,헤드폰 ※ 그 외 악기 및 장비는 개인지참 할 것. 반주 편성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나 설치 및 준비시간은 주어진 실연 시간에서 차감됨 ※ 그 외 개인장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개인 노트북 컴퓨터와 헤드폰 지참 가능 (마스터키보드 지참불가》 ※ 재생용 음원 : FAT32/exFAT/NTFS으로 포맷된 USB메모리에 MP3(320kbps) 또는 WAV 형태로 저장하여 제출 |
4. 전형요소별 반영비율 -학생부 10% + 실기 90% (1단계 실기 100%)